주식은 싸게 사서 높을때 판매하면 가장 베스트인 전략이다. 하지만 저점과 고점을 잡기란 하늘의 별따기, 일명 신의영역이라고 생각한다. 요즘 동학개미다 , 서학개미다 주식투자 붐이 일어나니 여기저기 개미들 등쳐먹을라고 사기치는 리딩방등이 극성이니 여러분들도 조심하시길 바랍니다. 앞날의 주식투자를 그렇게 잘 예견하면.. 힘들게 리딩방 차리고 그럴 필요가 있을까요??ㅎㅎㅎ 그렇게 확실하면 가족들 친지들이나 다 알려줄것이지. 아무것도 모르는 개미들한테 푼돈받고 저걸 왜 알려줄까 의심을 해봐야합니다 ㅎㅎㅎ
자 그럼 미국주식에서 투자해서 수익률을 높이려면 기업 분석을 어떻게 해야하는지가 중요합니다. 오늘은 기업 분석을 하기에 좋은 주식 용어들에 대한 정리를 해놓았으니 같이 공부해보아요 ㅎㅎ
1. 단기순이익 : 기업이 일정동안 얻은 모든 수익에서 기업을 운영하는데 지출한 모든 비용을 공개하고 순수하게 남은 이익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EX) 소고기 1마리 가격이 20만원이라고 가정하고 , 소 한마리 판매하려고 들어간 재료값 (포장지, 인건비 , 전기세 등등) 등이 15만원이라고 하면 , 소 1마리 가격 20만원에서 지출비용 15만원을 제외하고 남은 순이익 5만원을 당기순이익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2. EPS (주당 순이익)
기업들은 이익을 내야 회사주식의 가치를 인정받죠!! EPS란 기업이 주식 1주당 이익을 얼마나 창출했는지에 대한 지표라고 보시면 됩니다.
EPS = 단기순이익 / 총 발행주식수
EX) 아무개회사 = 1억원 / 5,000주 = 20,000원
굳이 계산을 안해도 네이버증권에 종목명을 검색해도 EPS가 나오게 됩니다.
EPS가 증가된다는 뜻은 1주당 벌어들이는 이익이 늘어난다는 뜻이고 , 이는 순이익이 증가 된다는 뜻이고 , 배당으로 돌아 갈수도 있는 좋은 신호라고 보시면 됩니다. 고로 EPS가 높으면 높을수록 좋은 것이고요, EPS가 낮으면 낮을수록 좋지 않다는 뜻입니다.
3. PER (주가 순수익 비율)
Earning 대비 현주가가 얼마나 벨류를 받고 있는지 볼 수 있는 지표라고 보시면 됩니다. 과거의 PER 흐름을 보면
지금 보고있는 주식이 고평가인지 저평가인지 가늠해 볼 수 있는 지표로 EPS,PER 이 거의 제일 많이 보시는 지표라고 보시면 될 거 같아요
시가총액 / 당기순이익 = PER
쉽게 PER 수치가 높을수록 고평가라고 보시면 되고요, PER 수치가 낮을수록 저평가라고 보시면 됩니다.
4. ROE ( 자기자본이익률)
ROE는 기업이 자기자본(주주지분)을 활용해 얼마를 벌었는지에 대한 지표를 나타냅니다. 자본의 성장성을 알려주는 아주좋은 지표입니다. 투자의 대가 워런버핏도 강조를 했다고 합니다.
ROE = 당기순이익 / 자본총계(자산-부채)
EX ) 자기자본이 1000억인 기업이 1년동안 100억의 당기순이익을 냈다면 ROE는 10%가 됩니다.
ROE는 높을수록 좋으며, 10이상 되면 투자 적정대상, 20이상이면 좋은 대상이라고 할수 있으며, ROE가 매년 증가할수록 좋은기업으로 평가 할 수 있습니다.
5. ROA (총자산순이익)
기업이 총자산으로 당기순이익을 얼마나 올렸는지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기업의 일정기간 수익을 자산총액으로 나누어 계산한 수치인데 기업이 얼마나 자산을 효율적으로 운영했는지 나타냅니다.
ROA가 지속적으로 오르고있는지 보고 , 동종업종과 비교해보고 상대적으로 높은 기업에 투자해야 좋다고 볼 수 있습니다.
6. BPS (주당순자산)
기업의 총자산에서 총부채를 뺀금액이 자기자본이고 , 여기서 무형자산, 이연자산 및 사외유출분을 제외한 금액이 순자산입니다. 여기서 순자산을 발행주식수로 나눈것이 주당순자산입니다. 기업이 청산 할 경우에 채무변제 후 주당 분배를 받을수 있는 금액입니다.
주당순자산이 크면클수록 기업내용이 충실하다고 볼수있습니다. 따라서 BPS가 높을수록 좋다고 보면 됩니다.
7. PBR (주가순자산비율)
주가가 순자산에 비해 주당 몇배로 거래되는지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즉 회사가 보유한 자산의 가치를 시장에서 평가한 수치입니다. PER이 1보다 낮으면 주식의 가치가 자산의 가치보다 낮게 평가 된 것이고 , PBR이 1보다 높으면 주식의 가치가 자산의 가치보다 높게 평가되었다는 겁니다.
일반적으로 PBR이 낮으면 성장이 둔화된 기업이고 , 높으면 성장하는 기업으로 볼 수 있습니다.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주식 프리장, 애프터장 실시간 증시 시세(가격) 확인하는 방법!! (7) | 2022.02.06 |
---|---|
키움증권 해외주식 환전 수수료 환율 우대 받고 거래하자 !!! (10) | 2022.01.27 |
미국 증시 개장시간 , 서머타임 , 프리장,애프터 마켓 휴장일 깔끔정리 (7) | 2022.01.16 |
2022년 1월 공모주 중 대어 LG 에너지솔루션 청약 상장 정리 (8) | 2022.01.01 |
코로나 새로운 변이 '오미크론' 우려!! 과연 주식은 어떻게 될지 (8) | 2021.11.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