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주식 공모주 크래프톤 [배틀그라운드] 청약 일정

by 유용한정보제공 2021. 7. 31.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처음으로 주식에 대한 내용을 다뤄봅니다. ㅎㅎ
요즘 공모주 핫하죠??? ㅎㅎ 맞아요 저도 공모주 몇번 해봤는데 재미가 솔솔하더라구요
얼마전에 공모주 카카오뱅크 청약이 핫했었죠?? 여러분들은 참여 하셨나요???
저는 최소 10주 신청했는데 5주가 청약이 되었습니다. ㅎㅎ소소하게 치킨값 좀 벌어보게요

 

 

 

 


이제 카뱅은 청약 일정은 끝이 났고 8월 2일날 다가올 크래프톤 공모주 청약에 대해 알아 볼까합니다.
크래프톤이 뭐하는 회사인지.. 아버지,어머님 세대는 잘 모르실거같고 ,  요즘 젊은이들은  대부분 다 알겁니다.
세계에서 히트를 친 게임!! 바로 배틀그라운드 만든 제작 회사입니다. 

크래프톤의 회사의 매출은  아시아 지역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며 , 북미 , 유럽 순입니다. 

 

 

배틀그라운드 크래프톤

 

 

청약 일정에 대해 간략하게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1. 공모주 회사 이름 :  크래프톤

2. 대표적인 게임 : 배틀그라운드

3. 청약 공모가 : 498,000원 

4. 예상 시가총액 : 24조 3천 

5. 청약 공모일  : 2021년 8월 2일~ 8월 3일 

6. 배정공고일  : 2021.08월 05일 

7. 납입일 : 2021년 08월 05일 

8. 환불일  : 2021년 08월 05일 

9. 상장일 : 2021년 8월 10일 

10. 청약 주관 증권사 :  미래에셋증권 , NH투자증권, 삼성증권  

11. 중복 청약 가능 유무 : 가능 

12. 최소 증거금 :  498,000 X 10 주 X 0.5(50%) = 2,490,000 원 

 

 

 

얼마전 너무 높은 공모가 제시로 인해 금감원에서  공모가가 너무 높으니 다시 정정해라라고하여  청약이 조금 
늦어졌는데요 ,   래프톤의 1주당 공모가는 49만 8천원으로 정해졌습니다.  1주당 가격이 어머어마하죠??ㄷㄷㄷ
공모가 49만8천원에 , 예상 시가총액이 24조3천512억원으로 게임주 1위 수준이라고 합니다. 지금 현재 1위인 NC소프트의 시가총액이 18조4천633억원이며 , 저 시가총액으로 상장일에 시총이 잡히면 게임 분야 1위로 
등극하게 됩니다. 그래서 논란이 좀 많기도하죠.. 만든 게임이라고는 배틀그라운드밖에 없는데 가격이 너무 터무니 없다 라는  논란의 중심에 있습니다. 저역시 너무 공모가가 높은게 아닌가 생각되기도 합니다.

 

 

크래프톤 증권사 청약수량

 

증권사 크래프톤 주식 배정 수량의 표인데요 , 미래에셋이 배정수량이 제일 많고요 , 그 다음으로 NH투자증권 , 마지막으로 삼성증권 순입니다.   아무래도 더 많은 수량을 받으려면 배정수량이 제일 많은 곳으로 넣으면 되는데 이게 그날 

청약 경쟁률에 따라  배정수량이 결정됨으로 , 약간의 눈치 게임도 필요해 보입니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것은.. 크래프톤은 중복 청약이 가능 한 마지막 공모주라는 점입니다.  앞으로의 공모주 청약시 증권사 중복 청약이 안됩니다.  그래서 이번이 마지막 중복 청약 공모주라는 점을 알고 하시면 좋을 거 같습니다. 

 

공모주 청약일이 8월 2일 이므로 , 8월 2일 전에 위 3개의 증권사에 계좌가 있어야 중복 청약이 가능한데요.  만약에 저 3개 증권사에서 없는 계좌가 있다면 신규로 개설해놓으시면 됩니다. 

참고로 대면계좌 신설은 1개의 증권사에서 개좌계설한 후에 20일 간은 타사증권사 신규계좌 계설이 안되므로 이점 

유의해주셔야합니다.   정말 공모주에 참여하고 싶은데 계좌개설 제한이 걸리신분은  오프라인 증권사에 가서 계좌 개설하는 방법도 있으니 참고 하시면 좋을 듯 합니다.^^

 

공모주 최소금액으로 청약하고 싶으신분은 10주의 공모가의 50%로 청약 진행하시면 되고 ,  여기서 10주 모두 당첨이 되시면  남은 50%의 공모가 가격을 입금하셔야하고요, 만약에 1주도 안되면 전액 환불이 08월 05일에 진행 됩니다.

 

모두 많이 당첨 되시길 빕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공모주 청약의   균등배정 및 비례배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