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ife

무량판 구조의 아파트인지 구분하는 방법

by 유용한정보제공 2023. 8. 7.
반응형

 

안녕하세요

 

요즘 아파트 부실공사로 말들이 참 많죠

 

그중에 무량판 구조가 눈에띄게 많이 언급되는데요 

 

오늘은 바로 무량판 구조가 어떤 구조인지 알아보겠습니다.

 

 

 

 

 무량판 구조 확인 방법 

 

 

 

 

아파트 건축 구조가  크게 3가지로 나눠지는데요 

 

 

 

 

1. 기둥식 구조  ( 슬래브+보+기둥 )

 

 

 

 

 

 

기둥식 구조는  하중을 기둥이 받기때문에 튼튼하며 , 층고가 높고 ,

 

가변성이 양호하며 , 건설비용이 높게 들어가 비쌉니다

 

 

평면도를 보면 기둥에 X가 그려져있는 곳은 기둥식 구조입니다. 

 

 

 

 

 

2. 벽식 구조 ( 슬래브 +벽체 ) 

 

 

 

 

보통 아파트 구조는 벽식 구조를 취합니다.  공사비가 저렴하며 , 가변성이 낮고 공사기간이 깁니다.

 

벽이 천장을 받치는 구조입니다. 

 

 

 

반응형

 

 

 

 

또한  실내에 기둥이 들어가면  구조도 안좋고 , 보를 만들면 보 높이때문에 층고를 높게 하기도 힘든 단점이 있습니다. 

 

또한 내력벽 철거가 안돼 방을 크게 빼기도 어려운 구조입니다. 

 

 

 

 

 

 

 

 

3. 무량판 구조  ( 슬래브 + 기둥 ) 

 

 

 

 

 

 

 

보 없이 기둥만 있는 구조 이며 , 가변성이 양호하며 시공이 용이하고

 

내력벽이 없어 공간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구조입니다. 

 

더욱이 공사기간도 짧아 요즘 짓는 아파트들이 대부분 무량판 구조인거 같습니다. 

 

 

 

 요즘 문제가 되고있는 부분은 기둥과 기둥 사이에 하중이 집중되기때문에 슬래브가 무너지는 것을 막기 위해 

 

하중을 지지하는  보강 철근을  반드시 넣어 철저히 공사를 해야하는데 , 

 

 요즘 건설인력이 비경력 외국노동자가 많으며 , 

 

공사기간을단축시키기 위해 보강 철근을 빼먹어서  지하주차장 붕괴나 , 

 

건설도중 건물이 무너져버리는 이슈들이 생기고 있어  부정적인 시각이 많이 담겨져 있는 구조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