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요즘 아파트 부실공사로 말들이 참 많죠
그중에 무량판 구조가 눈에띄게 많이 언급되는데요
오늘은 바로 무량판 구조가 어떤 구조인지 알아보겠습니다.
무량판 구조 확인 방법
아파트 건축 구조가 크게 3가지로 나눠지는데요
1. 기둥식 구조 ( 슬래브+보+기둥 )
기둥식 구조는 하중을 기둥이 받기때문에 튼튼하며 , 층고가 높고 ,
가변성이 양호하며 , 건설비용이 높게 들어가 비쌉니다
![](http://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xBoxReplace_250.png)
평면도를 보면 기둥에 X가 그려져있는 곳은 기둥식 구조입니다.
.
2. 벽식 구조 ( 슬래브 +벽체 )
보통 아파트 구조는 벽식 구조를 취합니다. 공사비가 저렴하며 , 가변성이 낮고 공사기간이 깁니다.
벽이 천장을 받치는 구조입니다.
![](http://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xBoxReplace_250.png)
또한 실내에 기둥이 들어가면 구조도 안좋고 , 보를 만들면 보 높이때문에 층고를 높게 하기도 힘든 단점이 있습니다.
또한 내력벽 철거가 안돼 방을 크게 빼기도 어려운 구조입니다.
3. 무량판 구조 ( 슬래브 + 기둥 )
보 없이 기둥만 있는 구조 이며 , 가변성이 양호하며 시공이 용이하고
내력벽이 없어 공간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구조입니다.
더욱이 공사기간도 짧아 요즘 짓는 아파트들이 대부분 무량판 구조인거 같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dXAnV/btsp7JTU8gn/YKIUFu2IwwngRKKuOwW3Pk/img.png)
요즘 문제가 되고있는 부분은 기둥과 기둥 사이에 하중이 집중되기때문에 슬래브가 무너지는 것을 막기 위해
하중을 지지하는 보강 철근을 반드시 넣어 철저히 공사를 해야하는데 ,
요즘 건설인력이 비경력 외국노동자가 많으며 ,
공사기간을단축시키기 위해 보강 철근을 빼먹어서 지하주차장 붕괴나 ,
건설도중 건물이 무너져버리는 이슈들이 생기고 있어 부정적인 시각이 많이 담겨져 있는 구조입니다
'lif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동 뉴핸드윙 음식물 탈수기 푸르미르!! 음식물 물기를 쫘악 빼버리는 필수 아이템 (1) | 2023.08.15 |
---|---|
KT 통신 자동이체 할인 카드 후보군 (1) | 2023.08.10 |
레이 EV 전기차 출시 기대중입니다. (1) | 2023.08.04 |
미성년자 자녀 주식계좌 개설하는 방법 ( 오프라인 ) (1) | 2023.07.14 |
한전 고효율 가전제품 구매비용 지원사업 신청 방법 (23년도에1등급 에너지효율등급 제품을 구매하신분은 꼭 10% ,20% 환급신청 하세요) (1) | 2023.07.08 |
댓글
유용한정보제공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
이 글이 도움이 됐다면, 응원 댓글을 써보세요. 블로거에게 지급되는 응원금은 새로운 창작의 큰 힘이 됩니다.
응원 댓글은 만 14세 이상 카카오계정 이용자라면 누구나 편하게 작성, 결제할 수 있습니다.
글 본문, 댓글 목록 등을 통해 응원한 팬과 응원 댓글, 응원금을 강조해 보여줍니다.
응원금은 앱에서는 인앱결제, 웹에서는 카카오페이 및 신용카드로 결제할 수 있습니다.